![](http://farm1.static.flickr.com/137/381700204_3adc79ac5a.jpg?v=0)
저녁을 먹고 나면 허물없이 찾아가 차 한잔을 마시고 싶다고 말할 수 있는 친구가 있었으면 좋겠다. 입은 옷을 갈아입지 않고 김치냄새가 좀 나더라도 흉보지 않을 친구가 우리 집 가까이 있었으면 좋겠다. 비 오는 오후나 눈 내리는 밤에 고무신을 끌고 찾아가도 좋을 친구, 밤늦도록 공허한 마음도 보일 수 있고 악의 없이 남의 얘기를 주고받고 나서도 말이 날까 걱정되지 않는 친구..... 사람이 자기 아내나 남편, 제 형제나 제 자식하고만 사랑을 나눈다면 어찌 행복해질 수 있으랴.
영원(永遠)이 없을수록 영원을 꿈꾸도록 돕는 진실한 친구가 필요하리라. 그가 여성이어도 좋고 남성이어도 좋다. 나보다 나이가 많아도 좋고 동갑이거나 적어도 좋다. 다만 그이 인품이 밝은 강물처럼 조용하고 은근하며 깊고 신선하며 예술과 인생을 소중히 여길 만큼 성숙한 사람이면 된다. 그는 반드시 잘 생길 필요가 없고, 수수하나 멋을 알고 중후한 몸가짐을 할 수 있으면 된다.
때로 약간의 변명과 신경질을 부려도 그것이 애교로 통할 수 있을 정도면 괜찮고 나의 변덕과 괜한 흥분에도 적절히 맞장구를 쳐주고 나서, 얼마의 시간이 흘러 내가 평온해지거든 부드럽고 세련된 표현으로 충고를 아끼지 않았으면 좋겠다.
나는 많은 사람을 사랑하고 싶지는 않다. 많은 사람과 사귀기를 원하지도 않는다. 나의 일생에 한 두 사람과 끊어지지 않는 아름답고 향기로운 인연으로 죽기까지 지속되기를 바란다.
나는 여러 나라 여러 곳을 여행하면서 끼니와 잠을 아껴 될수록 많은 것을 구경하였다. 그럼에도 지금은 그 많은 구경 중에 기막힌 감회로 남는 것은 거의 없다. 화려한 뉴욕이나 파리 보다는 포크라(네팔이 소도시)나 쿠스코(페루)가 더 정겹고 기억에 더 오래 남을 것이다 만약 내가 한 두 곳, 한 가지만 제대로 감상했더라면 두고두고 되새겨질 자산이 되었을 걸,
우정이라 하면 사람들은 관포지교(管鮑之交)를 말한다. 그러나 나는 친구를 괴롭히고 싶지는 않듯이 나 또한 인내로 베풀기만 할 재간이 없다. 나는 도를 닦으며 살기를 바라지 않고, 내 친구도 성현 같아지기를 바라지 않는다. 나는 될수록 정직하게 살고 싶고, 내 친구도 재미나 위안을 위해서 그저 제자리서 탄로 나는 약간의 거짓말을 하는 재치와 위트를 가졌으면 바랄 뿐이다.
나는 때로 맛있는 것을 내가 더 많이 먹고 싶을 테고, 내가 더 고결하게 보이기를 바라겠지만 금방 그 마음을 지울 줄도 알 것이다. 때로 나는 얼음 풀리는 냇물이나 가을 갈대 숲, 기러기 울음, 가을의 맑은하늘를 친구보다 더 좋아할 수 있겠으나, 결국은 우정을 제일로 여길 것이다.
우리는 흰 눈 속 참대 같은 기상을 지녔으나 들꽃처럼 나약할 수 있고, 아첨 같은 양보는 싫어하지만 이따금 밑지며 사는 아량도 갖기를 바란다. 우리는 명성과 권세, 재력을 중시하지도 부러워하지도 경멸하지도 않을 것이며, 그보다는 자기답게 사는 데 더 매력을 느끼며 애쓸 것이다. 우리는 항상 지혜롭지는 못하더라도, 자기의 곤란을 벗어나기 위해 비록 진실일지라도 타인을 팔진 않을 것이다. 오해를 받더라도 묵묵할 수 있는 어리석음과 배짱을 지니기를 바란다. 우리의 외모가 아름답지 않고 노추 해도 우리의 향기만은 아름답게 지니리라. 우리는 시기하는 마음 없이 남의 성공을 얘기하며, 경쟁하지 않고 자기 일을 하되 목숨을 거는 만용을 피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의 우정은 애정과도 같으며, 우리의 애정 또한 우정 같아서 요란한 빛깔도 시끄러운 소리도 피할 것이다.
나는 컴퓨터를 열면서 그를 생각할 것이며 베란다의 몇분 않되는 화초에 물을 주다가, 안개 낀 아침 창문을 열다가, 가을 하늘 흰 구름을 바라보다가, 까닭 없이 현기증을 느끼다가 문득 그가 보고 싶어지며, 그도 그럴 때 내가 보고 싶을 것이다.
그는 때로 울고 싶기도 하겠고, 내게도 울 수 있는 눈물과 추억이 있을 것이다. 우리에겐 젊어질수 있는 추억이 있으나, 늙는 일에 초조하지 않을 웃음도 만들어 낼 것이며, 우리는 눈물을 사랑하되 헤프지 않게, 가지는 멋보다 풍기는 멋을 사랑하며, 꽁보리밥을 먹을 때와 스테이크를 자를 때를 적응하는 품위도 지니리라.
우리는 푼돈이 생긴다고 하기 싫은 일을 하지 않을 것이며 천 년을 늙어도 항상 가락을 지니는 오동나무처럼 일생을 춥게 살아도 향기를 팔지 않는 매화처럼, 자유로운 모습을 잃지 않고 살고자 애쓰며 격려하리라.
내가 길을 가다가 잘익은 사과를 사서 그에게 들려주어도 나를 주책이라 나무라지 않으며 건널목이 아닌 찻길을 건네도 나의 교양을 탓하지 않을.... 나 또한 더러 그의 눈에 눈꼽을, 이 사이의 고춧가루를 오히려 인간적이라 유유히 보게 될 것이다.
우리의 손이 비록 작고 여리나, 서로를 버티어 주는 기둥이 될 것이며 우리의 눈빛이 흐리고 어두워질수록 서로를 살펴주는 불빛이 되어 주리라. 그러다가 어느 날이 홀연히 오면, 혼인날에 입던 드레스처럼 고이 수의를 떨쳐입으리라. 같은 날 또는 다른 날이라도.
세월이 흐르거든 묻힌 자리에서 더 고운 품종의 지란(芝蘭)이 돋아 피어, 그 맑고 높은 향기로 다시 만나지리라.
![](http://farm1.static.flickr.com/108/301509522_7fa724f90d_m.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