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법 詩法
아치볼드 매클리시
시는 둥그런 과일처럼
만질 수 있고 묵묵해야 한다.
엄지손가락에 닿는 오래된 메달들처럼
딱딱하고
새들의 비상처럼
시는 말을 아껴야 한다.
시는 구체적인 것이지
진실된 것이 아니다.
슬픔의 긴 역사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텅 빈 문간과 단풍잎 하나
사랑을 위해서는
비스듬히 기댄 풀잎들과 바다 위 두 개의 불빛
시는 무엇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단지 존재할 뿐이다.
Ars Poetica
rchibald Macleish
A poem should be palpable and mute
As globed fruit,
Dumb
As old medallions to the thumb....
A poem should be wordless
As the flight of birds...
A poem should be equal to
Not true.
For all the history of grief
An empyty doorway and a maple leaf
For love
The leaning grasses and two lightds above the sea
A poem should not mean
But be.
미국의 시인(1892-1982) 정부 관료와 하버드대 교수를 역임했다. 정치시와 서정시로 두 차례에 걸쳐 퓰리쳐상을 수상했다.
시 쓰는 법을 가르쳐주는 시입니다. 시란 추상적이고 현학적인 게 아니라 구체적인 것, 즉 보고 만지고 맡고 만질 수 있어야 한다고 시인은 말합니다. 자신의 마음과 생각을 구구절절이 설명하기보다는 '과일'과 '오래된 메달', ' 새의 비상'처럼 독자가 오감으로 경험할 수 있는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슬픔을 길게 설명하기보다는 독자가 시인의 슬픔을 연상할 수 있도록 텅 빈 문간과 단풍잎 하나를 보여주는 것이 시입니다. 사랑을 장황하게 설명하기보다는 서로 기대어 한 방향으로 기우은 풀잎들, 깜깜한 바다 위에서 함께 반짝이는 두 개의 불빛만 보여주면 됩니다.
여러분이 시인이라면 사랑을 위해 어떤 이미지를 사용하시겠습니까?
출처:장영희의 영미시산책 생일
'퍼온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런 우리렸으면 합니다 (0) | 2008.12.27 |
---|---|
좋은 친구가 그리운 날 (0) | 2008.12.17 |
연인같고 친구같은 사람 (0) | 2008.11.22 |
현대시 감상 (0) | 2008.10.24 |
친구여, 그래도 그대가 있어 나는 좋다 (0) | 2008.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