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우지 않은 버들강아지도 입술로 글을 쓴다
피우지 않은 버들강아지도 입술로 글을 쓴다 /호당/2024.9.3 서로 좋은 게 좋다는 말만 하는 게 삶이 전부는 아니다피우지 않은 버들강아지도 때로는모른다고 때쓰며 따라오지 않으려는 새끼 염소 같은 짓도 삶이다먹기 싫다고 또는 모른다고 앙앙거리는 아기에게 엄마처럼 억지로 밥숟갈 집어넣는 것도 생이다언젠가는 눈감은 버들강아지 비 맞고 강물 흐르는 기슭에서 거짓말하듯 눈 활짝 뜰 날에입술로 글을 쓴다날아간 새들아 돌아오너라먼저 간 버들강아지보다 오늘 아침 허겁지겁 달려와서 ‘가, 나, 다’글자 쓰려는 자안부부터 묻자배운 자나 못 배운 자나 간단히압축된 삶의 기록은 없다강물처럼 생은 흐른다같이 흐르다 갈래로 갈라지다한곳으로 만날 때도 있다피우지 않은 버들강아지가 입술로큰소리치며 글을 써서 꽃 필 때가 온다..